Posted
Filed under 음악/공연



내가 이런 공연의 리뷰도 써야하나…….

아니, 난 관대하니까.

사건의 발단은 이러했다. 어머니의 대학원시절 지도교수였던 분이 성남아트센터의 무슨 회원 자격으로 이따금 공연 티켓을 제공 받는다고 한다. 그러면 마침 성남에 살고 있는 엄마를 연주회에 초대한다. 이날도 그랬다.

보통 이런 자리에는 엄마와 아빠가 함께 나간다. 그러나 이 날은 아빠가 강연을 나갔기 때문에, 엄마는 대신 나를 대동하고 나가기로 했다. 무슨 연주회인지 아무런 정보를 듣지 못 했지만, 나는 약간의 기대감을 안고 흔쾌히 동행하기로 했다.

일찌감치 성남아트센터에 도착하여 저녁을 먹고, 콘서트 홀 앞에서 교수님 부부를 만나 티켓을 전달 받았다. 무슨 자선 콘서트를 표방하기에, 공짜표를 얻어 온 나는 일부러 내용은 아무 것도 없지만 가격은 3천원이나 하는 프로그램 북을 구입해 입장했다. 그리고 연주 시작 시간을 기다리며 그 빈약한 프로그램 북을 펼쳐 연주곡들과 연주단체를 살펴보았는데……. 아연실색할 수밖에 없었다.

연주 단체는 분당 청소년 오케스트라. 그러니까 아마추어 공연이었던 것이다. 그것도 대부분 초중고교에 다니는 어린애들로 이루어진 아마추어 오케스트라 말이다!

이 시점에서 이미 두 가지 의문을 품게 되었다.

첫 번째. 대체 분당 청소년 오케스트라 같은 어린애들의 아마추어 오케스트라가 어떻게 성남아트센터 콘서트 홀 무대에 오를 수 있는 걸까?

두 번째. 학생들의 부모와 친척들이라면 모를까, 그 외에는 불러봤자 욕만 먹을 연주회에, 왜 초대장까지 뿌려가며 사람들을 불러 모았을까?

그런데 이 의문들은 공연을 관람하는 중에 자연스럽게 해소되었다.



프로그램은 위와 같았다. 아마추어 오케스트라인 만큼 연주의 질에 대해서는 이야기하지 않겠다. 그냥 연주 외적인 면에서 몇 가지 감상을 적자면, 어느 아마추어 오케스트라든 악장 자리에는 바이올린 제대로 배운 티가 나는 녀석이 앉아있다는 것. 그리고 어느 어마추어 오케스트라든 비올라 파트는 대부분 움직거리는 마네킹 수준이지만 그럼에도 항상 수석 자리에 만큼은 바이올린을 했으면 나보다 잘했을 것 같은 실력자가 앉아있다는 것.

연주 자체는……. 아, 여기에 대해서는 함구하기로 했지.

하바네라 연주할 때에는 프로그램에 이름조차 적히지 않은 성악가가 나와서 오케스트라를 묻어버리는 노래를 부르고, 막판에 들고 있던 꽃을 객석에 던지고 나갔다.

그리고 인터미션도 없이 이어진 연주회의 9번째 프로그램. 갑자기 한 무리 백발의 노인들이 우수수 쏟아져 나오는 게 아닌가. 분명 아까 저녁 식사 때 식당에서 본 사람들이었다. 사람들과 인사하고 담소 나누느라 바빴던 사람들인데.

이들의 정체는 바로 CEO 중창단. 분당에 소재하는 각종 기업의 CEO 자리에 있는 사람들이 모여 만든, 말하자면 ‘중창 동호회’인 것이다. 여기서 연주 시작 시부터 품게 되었던 의문을 풀어 줄 실마리를 찾았다. 바로 CEO 중창단 멤버 중에 ‘성남아트센터’의 사장도 속해 있었던 것.

그러니까 성남아트센터의 사장은, 지역 사회 공헌이라는 공익적 기치를 전면에 내걸고 자신이 속한 동호회의 연주를 성남아트센터 무대에 올린 것. 그리고 분당 청소년 오케스트라는 이 중창단의 반주를 위해(그런데 지금 생각해보면 MR를 깔고 노래를 불렀던 것 같기도 하다) 불려온 것이겠지. 엄마의 지도교수가 이 사장님과 무슨 친분이 있다고 하니까, 초대권을 받게 된 것도 납득이 간다.

그래서 노래 자체는 어땠냐면……. 아, 언급 안 하기로 했지.

애당초 아마추어 무대인 줄 알고 갔더라면, 나 역시 아마추어 오케스트라에서 연주를 하는 한 사람으로서 매우 개방적인 자세로, 따뜻한 시선으로, 즐기려는 마음으로 이들의 연주를 감상했을 것이다. 사실 나는 아마추어 연주를 꽤 자주 보러 다니는 편이고, 그들에게 가장 열렬한 박수를 보내는 사람이다. 그러나 교수님의 초대를 받고 간 연주회가 이런 것이었을 줄은 꿈에도 몰랐기에, 사실 좀 툴툴거리는 마음이 들지 않을 수 없었다.

그나마 이 연주회를 살려준 것은 유엔젤보이스라고 하는 남성 6인조 중창단. 이들은 프로였다. 노래를 잘하는데다가 잘생기기까지 해서, 관객 호응도가 대단했다. 옆에서 이들의 공연을 내내 흐뭇하게 지켜보던 엄마 왈 “오늘 공연의 메인은 얘들이구나.”

아니었으면 어쩔 뻔했어.

유도된 앙코르 요청에 두 곡을 더 부르고, 꼬마 관객들에게는 색색의 공까지 던져주며 공연은 훈훈한 분위기 속에서 성공적으로 끝났다.

공연이 끝나고는, 따로 마려된 별실에서 공연 주최자와 지인들이 모여 조촐한 연회를 열었다. 교수님 부부를 따라서 나도 들어가게 되었는데, 동네 아저씨인 선우재덕씨가 사람들에게 어묵을 나눠주고 있었다. 들리는 말에 따르면 요즘 어묵 장사를 시작했다나. 막걸리야 그렇다 치고, 와인은 대체 어묵과 어떤 조화를 이루는 거지.

단장, 후원회장, 총무, 지휘자, 저명인사 등등의 인사가 이런 자리에서 빠질 수 없지. 나랑은 아무런 상관도 없는 이야기들이지만, 하도 사람들이 먹는 데에만 정신이 팔려있기에 내가 미안한 생각이 들어서 이야기를 경청 해 주었다.

이번 연주회가 제1회였다고 한다. 지역 사회 공헌이라는 공익적 기치를 내걸고 있는데, 어떤 식으로 지역 사회에 공헌을 하겠다는 것인지 나로선 잘 알 수 없었다. 당연한 얘기지만, 이런 공연은 여는 자체로 막대한 지출이 될 뿐이다. 아무리 공익적 목적이라지만, 아마추어 공연으로 돈을 벌수야 없는 것 아닌가? 하지만 CEO들의 세계이니, 오히려 돈 빠지는 수챗구멍을 열어두는 것이 자금 마련을 위한 한 방법이 될 수도 있으려나. 어떤 아줌마는 이 모임 구성을 위해 1억 원을 선뜻 내놓았다는 얘기도 있다. 뭐 CEO들의 호사스러운 취미 활동으로 보이기도 하지만, 이렇게 건전하게 논다는데, 차라리 칭찬을 해줘야지.

아무튼 좀 웃긴 하루였다.


2009/11/07 03:03 2009/11/07 03:03
Posted
Filed under 음악/공연



자주 시청하는 Arte TV의 광고를 통해 알게 된 바흐 페스티벌. 지난 토요일에는 바흐 페스티벌 공연 중 하나인 ‘바흐를 위하여’를 보고 왔다. 소프라노 임선혜가 바흐의 칸타타를 노래했고, 메튜 홀스가 지휘하는 레트로스펙트 앙상블(Retrospect Ensemble)이 연주를 했다.

레트로스펙트 앙상블의 전신은 1980년에 창단된 영국의 고음악 연주단체 킹스 콘소트(Kings Consort). 20년 넘게 이 팀을 이끌어온 로버트 킹이 2007년에 물러나고, 2009년에는 이름까지 레트로스펙트 앙상블로 바꿨다고 한다.

고음악 연주단체 답게 악기도 바로크 시대 악기를 사용한다. 하프시코드(쳄발로)와 바로크 바이올린, 바로크 오보에와 바로크 바순 등…….

장소는 세종문화회관 체임버 홀. 자리는 맨 뒷 열 좌측에서 두 번째 자리. 사실 티켓링크 쪽에 더 좋은 자리가 여럿 남아 있었는데, 티켓링크의 그 팝업 플래쉬 예약 시스템이 내 컴퓨터에서는 지랄 맞게 느려서 좌절. 티켓 한 장 예약하는 데 거의 30분쯤 걸렸다. 겨우겨우 끝마치고 결제 하려는데 무슨 보안 프로그램 안 깔렸다면서 액티브액스 떠주시고 처음부터 다시. 욕을 바가지로 퍼부은 다음 인터파크에서 예매해버렸다.

연주 프로그램은

칸타타 <바로 그 안식일 저녁에> BWV 42 중 신포니아

칸타타 <내게 주신 복에 만족하나이다> BWV 84

<오보에 다모레와 현을 위한 협주곡 A 장조>, BWV 1055

-인터미션-

<오케스트라 모음곡 1번 C장조> BWV 1066

칸타타 <이제 사라져라, 슬픔의 그림자여> BWV 202

사실 오케스트라 모음곡 1번 하나 바라보고 간 연주회였다. 오보에 협주곡은 제목만 오보에 협주곡이지, 원래 악보는 소실되어서 주로 쳄발로 협주로 연주된다. 그런데 이 날은 정말 오보에 협주로 연주를 하더라. 하지만 솔직히 오보에의 연주는 썩 만족스럽지 않았다. 근대에 들어 가장 발전한 악기가 관악기라는 것을 절감할 만큼, 바로크 오보에의 소리는 현대 오보에의 그 청아한 소리 대신 어딘가 짓눌린 듯한 갑갑한 소리가 났다. 악기의 한계를 제쳐두고라도 연주자의 실력이 그렇게 뛰어났다고 볼 수도 없었다. 몇 가지 눈에 띄는 실수가 있었던 것. 엉뚱한 것 가지고 트집 잡을 생각은 없지만, 자기 쉬는 부분에서 다리를 꼬고 앉는 거만한 태도를 보일 정도의 실력은 아니라고 생각되는데.

<바로크 시대의 오보에. 현대의 오보에와는 생김새부터가 많이 다르다.>

BWV 42 신포니아는 이날의 기악 음악 중에서는 한 번도 들어본 적이 없는 곡이었다. 하기야 성악곡 분야에 대해서는 통 무지한 나이니, 들어본 적이 없는 것도 당연하지만. 참고로 덧붙이자면, 바로크 시대에 ‘신포니아’라고 하면 오페라나 칸타타 같은 성악극의 시작 부분이나 중간에 삽입되는 기악 음악을 의미했다. 요즘 말로 옮기면 ‘서곡’이나 ‘간주곡’ 정도가 될까. 곡은 좀 심심한 편이었다. 아무래도 한 번도 들어본 적이 없는 곡이니까, 낯선 것도 있고.

그래도 오케스트라 모음곡 1번은 상큼했다. 또 지휘와 연주를 같이 한 것을 처음 봤는데, 이것도 인상 깊었다. 건반 악기 연주자들에 한해서 이렇게 지휘와 연주를 같이 하는 경우가 있는데, 물론 고음악 연주단체에서는 상당히 일반적이다. 일본에서는 이렇게 지휘와 연주를 동시에 하는 것을 ?き振り(히키후리)라고 한다. ?く는 피아노 등을 ‘치다’란 의미이고, 振る는 지휘봉을 ‘흔들다’라는 의미에서 ‘지휘하다’의 뜻으로 통한다. 그러니까 합쳐서 ‘치며 지휘하기’가 된다. 영어나 한국어에 이런 표현이 있는지 잘 모르겠다.

아무튼 관객을 등지고 쳄발로 앞에 앉아서 열정적으로 연주하는 한편, 지휘도 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사실 이번 연주회의 수확이라면 역시 소프라노 임선혜의 칸타타였다. 성악은 별로 즐기지 않아서 모두가 생소한 곡들이었지만, 과연 명불허전이라 음색이 고울 뿐만 아니라 기교도 완벽해서 처음 듣는 곡들임에도 감명을 받았다.

이날은 연주 실황이 라디오로 방송 되었는지, 객석 뒤편에 설치된 데스크에서 진행자가 연주 사이사이에 계속 뭐라고 이야기를 하더라.

연주회는 주로 큰 홀로 다녔고, 체임버 뮤직을 실황으로 즐길 기회는 별로 없었지만, 이런 분위기도 상당히 마음에 들었다. 아무래도 이런 연주회까지 찾아 올 정도 관객들이니 매너도 좋았고 말이다.

100% 만족한 연주회는 아니었지만, 오랜만에 좋은 기분 전환이 되었다.

2009/10/19 03:55 2009/10/19 03:55